728x90

공부 3

요청 데이터를 파싱하는 방법 express.json, express.urlencoded

프론트에서 node.js로 요청 데이터를 보낼 때, url이 아닌 request body에 들어 있는 경우, req.body를 통해서 해당 응답 데이터를 참조하기는 어렵다. 이 때, 이 부분을 쉽게 해결해주는 미들웨어가 express.json, express.urlencoded이다. express.json() → 'Content-Type': 'application./json' 을 해석 express.urlencoded() → 'Content-Type': 'application/x-www-form-urlencoded'을 해석 const express = require('express'); const app = express(); /* 아래 두 줄을 추가해준다. */ app.use(express.json()..

Programming/Node.js 2024.01.21

Kotlin이란?

Kotlin : JetBrains에서 개발한 언어 - Kotlin/JVM : 자바 가상 머신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. - Kotlin/JS : 자바스크립트로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. - Kotlin/Natvie : LLVM 컴파일러를 이용하여 여러 플랫폼을 타깃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. Kotlin의 장점 - 자료형 오류를 미리 잡을 수 있는 정적 언어 : 프로그램이 컴파일될 때, 자료형을 검사하여 확정하는 정적 언어 - 널 포인터 예외 (NPE)로 인한 프로그램의 중단을 예방 - 아주 간결하고 효율적 -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모두 가능 - 세미콜론 생략 가능 Kotlin 프로젝트 구성 ▶ 모듈, 패키지, 파일로 구성 기본 ..

Programming/Kotlin 2024.01.14
728x90